곰팡이 핀 음식은 먹지 않아요.
곰팡이는 우리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미생물 중 하아입니다. 특히 음식에서 곰팡이를 발견하면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고민할 겁니다. 가끔 버기기 아까워 이 정도는 도려내고 먹으면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는 했는데요. 곰팡이 핀 음식의 위험성과 대처 방법과 예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곰팡이란?
곰팡이는 균류의 일종이며 자연에서 흔하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주로는 습기있는 환경에서 자생하고, 음식물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곰팡이는 다양한 색상, 형태를 나타내고 그중에는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건강에 매우 해로울 수 있습니다. 곰팡이가 자라는 환경 즉 온도나 습도 그리고 식품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독소를 만들어내며 이런 독소는 열에 강하고 식품 가공 과정에서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플라톡신 | 견과류나 옥수수, 땅콩, 보리, 밀, 쌀 등에 피는 곰팡이가 생산하는 강력한 발암 물질 간암을 유발 할 수 있으며 콩이나 견과류로 만든 땅콩버터, 된장, 메주 등에서도 발견됩니다. |
오크라톡신 | 된장, 간장, 고추장과 곡류에 주로 피는 곰팡이에 의해 만들어지며, 신장과 간장에 특히 안좋으며 기형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
데옥시니발레놀 | 곡류에 주로 발생하며, 구토, 설사, 면역력 저하 등 유발 할 수 있습니다. |
제랄레논 | 옥수수, 보리 같은 곡류에 잘 피는 곰팡이가 만드는 독소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성질이 유사하며 생식기능장애를 유발 할 수 있습니다. |
곰팡이 핀 음식의 위험성
곰팡이가 핀 음식은 단순히 보기 안좋을 뿐 아니라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요. 곰팡이는 독소를 생성 할 수 있고 이 독소는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곰팡이가 핀 부분을 잘라내고 먹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곰팡이가 핀 음식을 걷어내고 먹는 것은 건강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니 아까워도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곰팡이 예방을 위한 보관법
곰팡이를 예방하기 위해 음식 보관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음식은 습기가 적고 온도 변화 적은 곳에 보관합니다. 개봉 후에는 반드시 빨리 소비하는 것이 좋고 또 냉장고의 온도를 적절히 유지하고 정기적인 청소로 곰팡이가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없애는 것이 중요합니다.
곰팡이와 건강 문제
곰팡이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 할 수 있고, 일부 사람에게는 호흡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나 어린이, 노인에게 더욱 위험할 수 있어요. 따라서 곰팡이가 핀 음식은 섭취하지 않습니다. 곰팡이 독소에 노출되면 사람마다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섭취량, 노출 기간등에 따라 증상 정도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인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소화기계 증상: 구토, 설사, 복통 등
✔신경계 증상: 두통, 현기증, 피로감 등
✔면역계 증상: 면역력 저하, 알레르기 반응 등
✔만성 질환: 간암, 신장 질환 등
가습기로 건강 지키기: 종류별 특징과 사용법
겨울철 가습기 왜 필요할까요? 겨울철이 다가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가습기를 찾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겨울철 건조한 공기는 우리 건강에 여러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데요. 이번 포스팅
sosoya59.tistory.com
곰팡이 독소 예방법
👉빵이나 떡은 개봉하면 바로 먹기
👉먹다가 남긴 음료나 물은 실온에 두지 않기
👉곰팡이가 생긴 견과류는 절대 먹지 않기
👉실내 습도는 60%이하로 유지하기
👉견과류는 밀봉해 냉장이나 냉동에 보관하기
👉장마철 쌀이나 곡류등은 냉장 보관하기
"곰팡이 핀 음식, 아까워서 그냥 먹었는데…" 치명적 결과
"곰팡이 핀 음식, 아까워서 그냥 먹었는데…" 치명적 결과, 음식 일부에 곰팡이 펴도 도려내지 말고 통째로 버려야
www.hankyung.com
🎈마무리
곰팡이 독소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건강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식품을 관리하고 섭취할 때 곰팡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곰팡이가 발생한 식품은 절대 섭취하지 않도록 합니다.
암의 걸릴 확률을 높이는 생활 습관 10가지
암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되며, 매년 수백만건의 새로운 암 환자들이 진단을 받습니다. 유전학이 암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생활 방식 선택 또한 암위험이 큰 영향을 미
sosoya59.tistory.com
'건강한 삶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파 속에서도 건강하게! 겨울철 생활 수칙 총정리 (0) | 2024.11.25 |
---|---|
통조림, 안전하게 즐기는 방법: 알고 먹으면 더 건강하게! (1) | 2024.11.18 |
건강한 겨울나기를 위한 맞춤형 가이드 (4) | 2024.11.11 |
냉찜질VS온찜질 상황별 찜질법 알아보기 (0) | 2024.11.10 |
폐를 지켜주세요! 규폐증 예방이 중요한 이유 (0) | 2024.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