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기온이 내려가면서 식중독 위험이 낮아진다고 생각하지만 겨울철에 유독 기승을 부리는 것이 '노로바이러스'가 있습니다. 다른 식중독 바이러스와 다르게 기온 낮은 겨울에 감염력이 높아집니다. 겨울철 노로바이러스에 감염 증상 및 예방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노로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는 다른 식중독 바이러스와 다르게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생존 기간이 연장되며 감염력 또한 높아지는 특징을 지녔습니다. 심지어 영하 20℃에서도 잘 살아남고, 60℃에서 30분 동안 가열해도 감염성이 유지됩니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24-48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구토, 복통, 설사등과 같은 식중독 증상이 나타납니다.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은 없고, 철저한 위생관리를 통해 예방이 가능합니다.
노로바이러스 증상
구토 -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구토 증상이 특징적이다.
설사 - 물 같은 설사가 나타날 수 있다.
복통 - 복부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감염 후 24-48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나타나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1-3일 내에 회복합니다. 그러나 노로바이러스는 매우 감염성이 강하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식중독과 노로바이러스 차이점
감염 원인 - 식중독은 주로 박테리아에 의해 오염된 음식과 물을 섭취함으로써 발생합니다. 반면에 노로바이러스가 오염원이며,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 등을 통해 섭취할 경우 사람에게 식중독을 일으킵니다.
발병 시기 - 식중독은 주로 더운 여름에 발생하며, 노로바이러스는 추운 겨울에 더욱 활발해집니다. 노로바이러스는 낮은 기온에서 더 활발하게 움직이는 특성 때문에 기온이 떨어질수록 세균 증식 속도가 더뎌지는 세균성 식중독과는 달리 발병률이 올라갑니다.
전염성 - 노로바이러스는 매우 감염성이 강해 한 사람에서 다른 사람으로 쉽게 퍼질 수 있습니다. 반면 식중독은 전염성이 없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서 노로바이러스와 식중독은 비슷한 증상을 나타나지만 다른 방식으로 관리되고 치료가 됩니다. 둘 다 모두 철저한 위생 관리를 통해 예방 가능합니다.
노로바이러스 예방 방법
손씻기 - 외출 후나 음식 조리 전, 공중 화장실 사용 후에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합니다. 손을 씻을 때는
30초 이상 비누나 세정제를 이용해 손가락, 손등까지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음식 조리 - 음식물은 내부까지 충분히 익혀야 합니다. 노로바이러스는 열에 약하기 때문에 어패류는 중심온도 85℃에서 1분 이상 완전히 익혀야 하며, 굴을 생식으로 먹기보다는 굴 국밥, 굴찜, 굴전 등으로 익혀 먹는 것이 안전합니다.
물 섭취 - 충분히 소독되지 않은 지하수는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되기 쉽기 때문에 반드시 끓여 먹는 것이 좋습니다.
환경 청결 유지 - 노로바이러스는 환경에 오래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주방과 화장실 등 청결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조치를 통해 노로바이러스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